교육목표
통신공학과는 전파통신기술(RCT) 및 정보통신기술(ICT)을 바탕으로 유ㆍ무선 통신공학 관련 분야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할 전문 인재양성을 교육목표로 한다. 최근 통신공학은 이용한 각종 종합정보통신망, 이동통신 및 위성통신망을 융합 고도로 집약 및 지능화된 새로운 차원의 통신기술로 발전하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맞춰 전파통신 및 정보통신 관련 교과목 및 교육과정을 편성하였으며, 통신공학과 학생들은 음성, 영상 및 데이터 등의 다양한 전파정보를 효율적으로 가공하고, 처리하여 먼 거리에 있는 사용자들에게 신속ㆍ정확한 정보의 전달하여 공유할 수 있는 통신 관련 기초이론, 실험 및 실습을 비롯하여 실무능력을 배운다.
가. 통신공학과 교육목표
- 전문성 - 기초에 충실한 통신공학 전문인력 양성
- 실무응용 - 실무능력을 겸비한 통신공학 전문인력 양성
- 국제적감각 - 글로벌 능력을 갖춘 통신공학 전문인력 양성
- 직업윤리 - 인성과 직업윤리를 갖춘 통신공학 전문인력 양성
나. 제주대학교 교육목표와 공과대학 교육목표의 연관성
|
공과대학 교육목표 제주대학교 교육목표 |
Ⅰ.전문성 | Ⅱ.실무응용 | Ⅲ.직업윤리 | Ⅳ.국제적감각 |
|---|---|---|---|---|
| Ⅰ.인격 |
○ |
○ |
● |
◑ |
| Ⅱ.창의성 |
● |
◑ |
○ |
○ |
| Ⅲ.지도력 |
◑ |
● |
○ |
◑ |
| Ⅳ.세계시민의식 |
○ |
○ |
◑ |
● |
● : Strong ◑ : Medium ○ : Weak
학과(전공) 인재상
가. 통신공학과 인재상
- 통신 기초 및 실무능력을 겸비한 전문통신인
- 글로벌 사회를 선도할 글로벌 통신인
- 인성과 직업윤리를 두루 갖춘 인격 통신인
나.제주대학교 인재상과의 연관성
| 제주대학교 인재상 | Ⅰ.전문통신인 | Ⅱ.글로벌통신인 | Ⅲ.인격통신인 |
|---|---|---|---|
| 소통하는 인재 바람인 | ● | ◑ | ◑ |
| 도전하는 인재 오름인 | ◑ | ● | ○ |
| 포용하는 인재 바다인 | ○ | ○ | ● |
● : Strong ◑ : Medium ○ : Weak
발전계획 및 실천전략
중기 발전계획
- 대학원 활성화를 통한 우수인력 확보 및 전문인력 배출
- 통신 관련 분야의 산학협력체제 확대 구축 및 현장실습, 취업 활성화
- 국내 및 국제 전문 학술지 게재 논문 수 매년 1편 이상 신장
- 융합형 교육체제 개편 및 고나련 분야 인력 집중 양성
- 홈페이지 보완 및 운영 활성화를 통한 홍보 및 소통의 장 확대
- 미래 기술 발전 워크샵 추진 및 기술 동향에 맞춘 커리큘럼 상시보완
장기 발전계획
- 장기적인 학과 발전 전략수립 및 운영을 위한 발전위원회 설치 운영
- 통신공학과 중·장기 발전 후원금 모금을 위한 동문 후원회 결성
- 관련 학과들의 융합 전공 확대 운영 및 동·폐합 과정 적극 검토
- 우수 입학 인력 확보를 위한 도 내외 고등학교와의 간담회 정례화
발전계획에 따른 실천전략
- 통신공학과 발전위원회 설치 및 운영
- 통신공학과 우수인력 확보를 위한 적극적인 홍보 강화
- 통신공학과 동문 후원회 결성을 통한 정기적인 발전 전략 간담회 진행
- 통신공학과 중·장기 발전 후원금 기반의 우수인력 유치 및 장학금 확대
- 통신 관련 공공기관 및 기업체의 MOU 작성 및 현장실습, 취업 활성화
전공능력
가. 전공기초지식 강화 : 공학인으로서 갖추어야 할 수학과 기초 과학에 대한 지식을 충실히 갖추며, 창의적 능력을 갖춘 전문인력 양성
나. 통신 분야 전공능력 함양: 통신 분야에 대한 이론 및 응용지식을 이해하여 산업체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실무 능력을 갖춘 인력양성
다. 산업체의 요구를 반영한 맞춤형 교육 : 정보통신 분야의 공공기관 및 기업체와의 협력체계를 활성화하며, 현장실습 강화 및 취업 활성화를 위한 기업 맞춤형 실무 능력을 갖춘 인력양성
라. 국제 기술 동향에 맞춘 정보통신 분야의 설계교과목을 통하여 국제적인 실무 능력을 강화하고, 외국어 능력을 강화하여 국제화 시대에 맞는 인력양성
마. 융합형 미래 전파 통신공학인 양성
바. 통신 분야 전문가로서 갖춰야 할 의사 소통능력을 갖춘 인력양성 및 사회적 윤리적 책임을 갖춘 공학인 양성
진로(취업) 분야
이동통신시스템의 설계·관리 분야, RFID/USN 설계·관리 분야, 통신회로 및 각종 통신용 부품 생산 분야, 전자교환방식을 포함한 유선통신 및 광통신 시스템의 설계·관리 분야, 각종 필터설계 및 스펙트럼해석을 포함하는 신호처리 분야, DMB를 포함한 방송기술 및 마이크로파와 전파 연구 분야, 텔레매틱스와 홈네트워크 단말 및 서비스 개발 분야, 유무선 인터넷망 통한 정보교환기술 및 시스템 설계분야, IoT를 포함한 유무선 인터넷 서비스 기획·개발 분야, 이외에 우주·해양·항공·국방·보안 등 진출분야가 매우 광범위하며 그 수요가 날로 증가하고 있으며, 관련 산업체와의 산학 협력체제를 공고히 하고자 함








